Just Ride/Bike

서킷 레이스 용어

Tz-티지 2009. 5. 16. 00:55

그래블 베드(gravel bed)
서키트의 세이프티 존에 깔아 놓은 자갈밭을 그래블 베드라고 한다. 코스를 벗어난 경주차가 그래블 베드에 들어가면 스피드가 떨어져 경주차의 파손을 줄이고, 드라이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자갈의 크기는 최소 2mm, 최대 8mm이고, 깊이는 250mm 이상이어야 한다.

그랜드 스탠드(grand stand)
서키트에서 메인 스탠드를 가리킨다. 그랜드 스탠드 앞에서 레이스의 스타트와 피니시가 이루어진다. 피트가 잘 보일 뿐만 아니라 경기장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마련되어 입장료가 비싸다. 우리나라의 경우 창원 시가지 서키트와 태백준용 서키트가 그랜드 스탠드를 갖추고 있다.

기어박스(gearbox)
엔진에 붙는 트랜스미션을 다른 말로 기어박스라고 한다. 경주차의 변속방식은 일반적인 ‘H’패턴부터 기어레버를 앞·뒤로만 움직이는 시퀀셜방식, F1 머신처럼 스티어링 휠 뒤의 레버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다운포스(downforce)
레이싱카에 쓰이는 윙은 비행기의 날개를 뒤집어 놓은 모양과 비슷하다. 비행기 날개가 양력을 만드는데 반해 경주차의 윙은 차체를 눌러 접지력을 키우는 효과를 낸다. 하지만 다운포스가 늘어나면 차를 뒤로 잡아당기는 드래그 효과도 함께 커지므로 최고속도는 낮아진다.

드래프팅(drafting)
앞으로 달려나가는 경주차의 뒤쪽은 압력이 낮은 상태가 된다. 바로 그 뒤에 붙어 달릴 경우 저항을 덜 받는데다가 앞차가 뒤따르는 차를 잡아당기는 공기역학적 힘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현상을 ‘드래프팅’이라고 부르며 이를 이용한 주행법을 ‘슬립 스트림’(slip stream)이라고 한다.

디퓨저(diffuser)
차체 뒤 아래쪽 바닥에 달려있는 에어로 파츠가 디퓨저이다. 차체 바닥을 지나친 후 뒷부분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 다운포스를 만든다.

랩(lap)
서키트를 한 바퀴 주행하는 것을 랩이라고 한다. 이때 걸리는 시간을 랩타임이라고 부르며, 예선에서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한 드라이버가 결승 폴포지션에 서게 된다. 참고로 7랩째 리타이어한 경우의 주회수는 6랩만 인정된다.

리타이어(retire)
사고나 경주차 트러블 등의 이유로 완주하지 못하는 것을 리타이어라고 부른다. 기록표에는 리타이어를 ‘R’로 표시한다. 리타이어의 이유를 나타내는 기어박스, 브레이크, 스티어링 휠 등을 함께 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R-브레이크’라고 적혀 있으면 브레이크 고장으로 피니시라인을 밟지 못했다는 뜻이다.

마샬카(marshal car)
공식예선과 결승 레이스 전에 코스의 안전확인을 위해 오피셜을 태우고 코스를 한 바퀴 도는 차다.

사인보드(sign board)
피트에서 주행중인 드라이버에게 정보를 전하고 지시를 내릴 때 쓰이는 표지판이다. 사인보드에는 순위, 랩타임, 앞뒤로 달리는 차의 시간차 등의 내용이 걸린다. 팀의 작전이나 경주차의 상태에 따라 차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라는 사인을 보내기도 한다. 사인보드의 크기는 가로×세로 100×60cm를 넘을 수 없다.

슬릭 타이어(slick tyre)
트레드가 없는 타이어를 슬릭 타이어라고 한다. 건조한 노면에서 쓰는 슬릭 타이어는 접지면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홈을 모두 없앤 것이다. 빠른 속도를 내는 포뮬러 경주차들은 대부분 슬릭 타이어를 끼운다. 고무재질(컴파운드)이 매우 부드러워 장거리를 뛸 수 없기 때문에 경기 중 피트인해 타이어를 바꾼다. 노면이 젖었을 때는 레인 타이어를 쓰거나 약간의 트레드를 만든 세미 슬릭 타이어를 쓴다.

슬립 스트림(slip stream)
직선에서 코너에 진입할 때 추월 테크닉으로 많이 쓰이는 주행법이다. 고속으로 달리는 경주차의 뒤에 바짝 붙으면 공기 저향이 크게 줄어든다. 공기 흐름에 의해 앞차 뒷부분에 일종의 진공상태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뒤차는 적은 엔진출력으로도 액셀 워크에 여유가 있고 그런 만큼 앞차보다 가속이 유리하다. 우리나라 자동차경주에서는 포뮬러1800에서 슬립 스트림을 자주 볼 수 있다.

오벌코스(oval course)
타원형 트랙을 오벌코스라고 부른다. 트랙 전체가 한눈에 보이도록 달걀모양으로 만들어 빠른 속력을 낼 수 있다. 주로 챔피언십 오토 레이싱 팀즈(CART)나 인디 레이싱 리그(IRL)가 열리는 미국에서 볼 수 있는 서키트 형태다. 인디애나폴리스 500이 열리는 인디애나폴리스 모터스피드웨이, 데이토나 24시간이 개최되는 데이토나 모터스피드웨이 등이 대표적이다. 오벌트랙은 코스 안쪽을 경사지게 만들어 고속에서 안정감이 커지게 한다. 양산차의 테스트 트랙인 프루빙 그라운드와 비슷한 모양이다.

컴파운드(compound)
타이어를 만들 때 기본이 되는 고무에 첨가제를 섞는다. 이때 카본, 오일, 유황 등 첨가제의 화학적 구성성분과 비율에 따라 타이어 표면의 부드럽고 딱딱한 정도인 컴파운드가 변화한다. 트랙션은 컴파운드가 부드러울수록 좋고 내구성은 딱딱할수록 뛰어나다. 모터스포츠에 타이어를 공급하는 업체들은 기온변화, 트랙에 따라 달라지는 노면특성 등을 고려해서 최고의 성능을 내는 컴파운드를 만들어 내는데 주력한다.

코스인(course in)
경주차가 피트에서 코스로 들어가는 것. 피트로드는 코스에 포함되지 않는다. 피트로드는 트랙에서 피트로 드어오는 길로 가드레일이나 노란 선으로 트랙과 구분한다. 주유나 정비 등 피트로 들어오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면 피트로드 진입이 금지된다.

페이스카(pace car)
경기 도중 중대한 사고가 났을 때 코스에 들어가 경주차들의 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페이스카에서 특별지시가 없는 한 뒤차는 페이스카를 추월하지 못한다. 페이스카가 들어가는 동시에 추월을 금지하는 황기가 걸리고, 페이스카는 노란색 램프를 깜박거리면서 달린다. 페이스카가 피트에 들어가면 경주가 다시 시작된다. 차들이 한꺼번에 출발하는 롤링 스타트 때 선도하는 마샬카를 페이스카라 부르기도 한다. 페이스카가 투입된 랩도 전체 주회수에 포함된다.

포스트(post)
코스 포스트(course post)의 줄임말이다. 경기 중 코스위원이 배치되어 경주차에 신호를 보내고 경기장과 무전연락도 하는 관제박스다. 포스트와 다음 포스트는 반드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거리에 있어야 한다.

폴투윈(pole to win)
예선 1위(폴포지션)에서 출발한 드라이버가 우승한 것을 폴투윈이라고 한다. 같은 말로 폴투피니시가 있다. 같은 팀 드라이버가 1, 2위를 기록한 경우는 원투피니시라고 부른다.

폴포지션(pole position)
공식예선에서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한 드라이버가 차지하는 결승 그리드가 폴포지션(PP)이다. 스타트에서 가장 유리한 1열 맨 앞줄이다